JAVA/Spring Security

스프링 시큐리티 [Spring Security]

이준생 2021. 6. 11. 22:54
728x90
반응형
SMALL

https://www.inflearn.com/course/%EB%B0%B1%EA%B8%B0%EC%84%A0-%EC%8A%A4%ED%94%84%EB%A7%81-%EC%8B%9C%ED%81%90%EB%A6%AC%ED%8B%B0#

 

스프링 시큐리티 - 인프런 | 강의

스프링 시큐리티 구동 원리 및 구조를 이해하고 스프링 시큐리티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인증 및 인가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 대부분의

www.inflearn.com

 


 

오늘부터 백기선 강사님의 인프런 강의를 듣고 스프링 시큐리티에 대해 공부한 것을 정리하고자 한다!

 

무작정 알고리즘 문제만 풀어재끼려 하다보니,

정작 코딩테스트를 통과해도 면접을 통과할 자신이 없었다.

 

수박 겉핥기 식으로만 시스템을 대했던 생존형 개발자를 벗어나서

전문적인 "진짜" 개발자가 되기 위하여...!

 


 

<강의 소개>

중급자를 위해 준비한 [웹 개발, 보안] 강의입니다.

 

스프링 시큐리티 구동 원리 및 구조를 이해하고 스프링 시큐리티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인증 및 인가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은 "인증"과 "인가" 없이 제대로 동작할 수 없습니다.

게시판을 만든다고 가정해 봅시다. 익명 게시판이 아닌 이상 여러분이 만든 게시판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어떤 사용자가 글을 작성하고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흔히 '로그인'이라고 부르고 스프링 시큐리티에서는 Authentication 또는 "인증"이라고 말하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또한 글을 수정하는 기능을 구현할 때, 그 글을 수정할 수 있는 사용자는 최소한 그 글을 작성한 사용자 또는 관리자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때 개발자로서 우리는 애플리케이션에 "인가", Authorization 또는 Access Contrl 기능을 적용하여 적절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해당 글을 수정할 수 있도록 기능을 구현해야 합니다. 또한 웹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CSRF, XXS, 세션 변조, Clickjacking 등 다양한 웹 보안 관련 이슈에 대응하는 것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 강좌는 폼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에 스프링 시큐리티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적용하며 스프링 시큐리티 구조를 파악합니다. 

단순히 이런 저런 기능을 적용해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스프링 시큐리티가 서블릿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에 어떻게 맞물려 동작하는지 그 내부 구조를 학습합니다. 따라서, AuthenticationManager, AccessDecisionManager, FilterChainProxy 등 스프링 시큐리티 내부 구조를 학습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 강좌는 타임리프(Thymeleaf)를 뷰 템플릿으로 사용하는 서블릿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주로 다룹니다. 

ACL, OAuth2, Reactive(WebFlux) 그리고 웹소켓을 지원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았으며 메소드 시큐리티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살펴봤습니다. 이번 강좌의 초점을 보다 대중적인 애플리케이션 형태에 집중하려는 선택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강좌를 충분히 학습하신다면 그 지식을 기반으로 여기서 다루지 않은 기능도 손쉽게 익힐 수 있을 겁니다.

견지망월(見指忘月)이라는 옛말이 있습니다. 물론 손가락도 봐야 하지만 여러분 달도 꼭 보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만든 또 앞으로도 만들 제 모든 강좌를 보면서 여러분은 제가 무언가를 학습하는 방법. 그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저는 항상 테스트를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TDD에 집착하지는 않습니다. (가끔 그렇게 보인다는 피드백을 받기도 했지만..) 모든 기능은 직접 코딩하여 검증하며,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 또는 더 자세히 보고 싶은 부분은 디버거를 활용합니다. 여러분은 이 강좌에서도 어김없이 스프링 시큐리티를 적용했을 때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과 디버거를 사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어떤 IDE를 사용하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만 여러분에게 익숙한 IDE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이 강좌에서는 IntelliJ IDEA(인텔리J) 유료 버전을 사용합니다. 인텔리J 무료 버전을 사용해도 강좌를 따라 코딩하는 데는 크게 지장은 없지만 일부 과정이 여러분 보다 훨씬 편리해 보일 수는 있습니다. 스프링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이클립스 기반의 STS(스프링 툴 스윗)을 사용한다면 비슷한 수준의 편리함을 누릴 수 있을 겁니다.

728x90
반응형
LIST